QGIS를 통한 경사분석은 지형분석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많이 사용하는 툴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로 DEM이라는 수치표고모델을 사용하는데, 특히 DEM을 외부에서 다운받아 사용할때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나름 공부해본결과 해당 DEM의 좌표계가 문제가 있어 Z-factor (수직 및 수평거리의 비율)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고 들었는데..솔직히 잘 이해는 안된다.
여기서 몇가지 해결방법을 찾아보았는데 일단 Z-facor값을 수정하는 방법이 있다. (국립공원공단 유병혁님의 블로그 참조)
https://blog.daum.net/geoscience/210
ASTER GDEM (6) - Hillshade 및 Slope 계산 시 고도인자(Z factor) 설정
ASTER GDEM을 가지고 Slope을 계산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지리좌표체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도인자, 즉 Z factor가 1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 내용은 실습을 통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blog.daum.net
하지만 이 방법으로 해결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 그럴경우 해당 DEM을 다른 좌표계로 재투영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https://blog.daum.net/geoscience/584
하지만 위 블로그는 ArcGis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어, QGIS 에서는 다음과 같은 도구가 있다.

툴은 공간처리툴박스 - GDAL - 래스터투영 - 워프(재투영) 툴에서 사용하면 된다,
'GIS, LiDAR,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tinel 위성영상 (0) | 2023.10.26 |
---|---|
QGIS 래스터 분석 관련 포스트 (0) | 2023.10.05 |
원격탐사 - Landsat 위성 정리 (0) | 2023.09.27 |
QGIS 팁 - 벡터 처리 (0) | 2022.06.06 |
GEDI 데이터를 이용한 강원도 바이오매스량 산정 (0) | 202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