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복원 3

산림 및 경관 복원 ; 개념과 접근법 그리고 실행방법

산림 및 경관 복원 ; 개념과 접근법 그리고 실행방법 개념산림 및 토지의 황폐화는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이며,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하다. 전세계적으로 약 10억명의 사람이 황폐화된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전세계 인구의 약 15%에 해당되는 상당한 양이다. 또한 세계인구의 약 3분의 1이 이런 토지 황폐화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토지황폐화는 일반적으로 생태계가 제공하여주는 생물학적 그리고 물과 관련된 재화나 서비스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재화 및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FAO/LADA n.d) 같은 맥락에서 산림 황폐화도 역시 산림이 제공해주는 재화와 서비스의 제공 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FAO, 2011)이런 ..

산림사업 2017.04.03

산림복원에 대한 재원 마련을 위한 세가지 단계

산림복원에 대한 재원 마련을 위한 세가지 단계 황폐된 산림 및 경관을 복원하는 것은 사회 경제적 편익을 증대시키면서 환경적 편익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사업이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림복원으로 44%의 산림생물다양성의 증가와 25%의 생태계 서비스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산림복원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바로 이를 위한 재원마련이다. 전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산림복원에 필요한 자금의 13-17%만이 현재 조성되었으며, 이중에서도 민간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은 20%정도 밖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향후 산림복원에 필요한 많은 자금을 모금하기 위해서 민간부분에서 많은 투자를 이끌어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많은 산림관련 연구기관들이 이러한 복원..

산림사업 2016.10.21

자생종을 이용한 훼손지 복원 문제

DMZ 일원 훼손지역 생태복원을 위한 자생종자 처리 및 이용에 관한 심포지움 참가기 DMZ란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한반도가 아직 세계 유일의 분단지역이라는 아픔을 담고 있는 대립과 갈등의 상징적 장소이며, 휴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 이후 약 60년이 넘도록 민간 출입이 통제되면서 생물의 다양성과 희귀 동식물의 보전, 그리고 생태적 가치 등으로 인해 생태계의 보고로 평가받고 있는 지역이다. 하지만 이러한 DMZ지역에는 인간의 손이 닿지 않아 좋은 점이 있는 반면에, 자연적이거나 혹은 인위적인 생태계의 회손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기도 하며,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보니, 복원에 있어서 일반적인 복원기술 적용이 어려운 곳이기도 하다. 사실 간단히 생각할 때 인간의 손이 쉽게 닿지 못하..

환경관련자료 201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