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 63

[오퍼 품목 안내] 케루잉(Keruing) 비니어

[오퍼 품목 안내] 케루잉(Keruing) 비니어 합판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급 소재인 케루잉 비니어입니다. 케루잉은 지역에 따라 아피통, 마이양, 크루잉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며, 목질이 단단하고, 치밀하여 고급 합판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품입니다. Specification · A GRADE: No defects (RED TAPE) · B GRADE: No holes, no rotten and no major pin borer (YELLOW TAPE) · C GRADE: Anything inferior to B. · THICKNESS: 0.30 MM Plus · SIZES: (8'X4', 8'X3') (7'X4', 7'X3'), (6'X4', 6'X3') · Margin 3" in width and ..

미지의 목재 시리즈 1 Betula alnoides

미지의 목재 시리즈 1 Betula alnoides 지역명 : 영문 Alder-leaf birch, Chinese: 西桦, 라오스 Sar kai, 네팔 bhojpatra Betula는 자작나무속으로 주로 북반구에 분포하는 낙엽활엽수종이다. 전세계적으로 약 30에서 60여종의 수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재목이나 합판용재 또는 집성목용으로 사용되는 고급수종중의 하나이다. 목재는 매우 단단하고 결이 고운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수피도 많이 이용되는데 예로 부터 불을 붙이거나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는데도 많이 이용되었다. 자작나무 목재에는 다당체인 자일란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핀란드에서는 자작나무 속의 자일란을 자일로스로 변환시켜 추출한 뒤 정제 및 환원 과정을 거쳐 자일리톨을 만들기도 한다. ..

목질 건축자재 소개 1 코르크 (Cork)

목질 건축자재 소개 1 코르크 (Cork) 목재는 사실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건축자재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것은 그만큼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목재만이 갖고 있는 건축자재로서의 훌룡한 성질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목재는 가공성이 뛰어나며, 경량이고, 가격 또한 경쟁력이 있는 건축자재이다. 최근의 연구조사에 의하면, 목재를 건축자재로 사용한 경우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어 거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한다. 또한 목재는 재생가능한 자원으로 목재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탄소를 고정하는 효과도 있는 만큼 친환경적이다. 이러한 목질 건축자재를 소개하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 중의 하나라 생각되며, 기존에 이미 많은 제품소개들이 있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조심..

북유럽 침엽수종 제재목 품질 등급 규정

북유럽 침엽수종 제재목 품질 등급 규정 (Nordic softwood grading rules / Blue book)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목재는 단연 소나무류 포함한 침엽수종의 제재목이다. 그리하여 목재에서도 가장 많이 수입되는 제품도 또한 이러한 목재들이며, 여기에는 주로 Pine (소나무류), Spruce(가문비나무류), Fir(전나무류)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중국에서 삼목(Cedar류)나 비슷한 종류이긴 하지만 일본에서 들어오는 Hinoki(편백류)나무들이 수입되어 들어오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침엽수종들은 그 특성상 주로 온대지방이나 한대지방 등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거나, 고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는 나무들로, 따라서 주요 수입국들도 이러한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는 캐나다나 미국 그리고 ..

2014년 12월 후반기 목재시장동향

2014년 12월 후반기 목재시장동향 독일의 침엽수 제재목의 생산자물가지수는 11월에 1.6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11년 12월 이후 가장 큰 감소세이다. 이 지수는 2010년을 100%로 상정했을 때 현재 114%를 나타내는 정도의 지수이다. 이는 이같은 급격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작년의 같은 시기를 비교했을때는 약 0.4% 상승한 치수이다. 스웨덴의 경우 생산자 물가지수는 11월 중순 이후 4주동안 약 1.3포인트 떨어져 현재 126.9%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 치수는 2012년 11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하지만 이 치수는 2년전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12포인트 정도 높은 수준이다. (2005년 1월 100%) 반면 제재용 원목의 가격도 전 세계적으로 3분기에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목재뉴스] 2014년 침엽수제재목 수요의 세계적 동향

2014년 침엽수제재목 수요의 세계적 동향 침엽수제재목의 수요는 세계적인 경기침체 이후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2014년에는 2007년 이후에 가장 큰 목재의 거래가 이루어 졌다는 통계가 나오고 있다. 스웨덴이나 핀란드산 제재목의 가격은 2012년 초반부터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었으며 올해의 3/4분기에는 최근에 가장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특히 스웨덴산 제품의 경우 이집트나 영국 그리고 덴마크 시장이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기도 했다. 러시아 루블화의 평가절하로, 러시아산 목재도 여름과 가을에 걸쳐 수출량은 증가하였으며 14년 3분기의 경우 최고점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중국향으로의 수출은 작년 3분기의 11%나 증가하는 기록을 세우고 있다. 이러한 러시아산 목재들과 경쟁하기 위해, 카나..

목재제품 안전성평가 기준

목재제품 안전성평가 기준 제정 2014. 12. 19. 산림청 고시 제2014 - 119호 제1조(목적) ① 이 기준은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15조제3항에 따라 안전성평가 기준의 세부 평가항목, 평가내용 등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평가대상) 영 제15조제1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목재제품으로 한다. 제3조(평가항목 및 내용) ① 영 제15조제2항제3호에 의한 목재제품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의 종류와 양 및 인체․환경에 대한 영향력 정도를 고려하여 안전성평가를 시행한다. 다만, 영 제15조제2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안전성평가 기준은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제20조제1항에 따른 목재제품 규격․품질기준 고시에 따른다. ② 안전성..

ITTO Trophical Timber Market Report 주요 내용 (2014년 12월 1~15일)

ITTO Trophical Timber Market Report 주요 내용일자 : 2014년 12월 1~15일 자 인도네시아 편 인도네시아 중소제재업체들 SVLK 인증의 절차간소화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는 많은 관련업계와의 논의를 통해 중소업체들에게 SVLK(Local Timber legality verfication system, 합법적인 목재벌채 검증 시스템)의 취득 절차를 간소화 하는데 합의 했다. 농림산물의 무역을 담당하는 담당자는 이러한 결정은 중소규모의 제재업체들에서 3천만 루파아(약 US$2,457)에 달하는 인증비용을 감당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관계부처들은 회의를 통해 이러한 간편인증시스템을 2015년 1월 1월부터 시행한다고 한다. 새로운 시스템에서는 중소기업들은 수출물품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