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4

전세계적인 원시림 파괴의 문제

전세계적인 원시림 파괴의 문제 원시림(Intact forest landscapes (IFLs))은 야생성이 거의 파괴되지 않는 산림을 말하며, 이러한 산림은 세계에서 생태적으로 가장 중요한 생태계 중의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이러한 생태계의 야생성은 이것들만의 독특성을 부여하는 데, 이러한 독특성에는 기후 및 강수량 조절, 원주민의 삶의 터전의 제공 그리고 높은 생물다양성의 유지와 막대한 탄소고정 등의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들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원시림들은 세계 도처에서 많은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1년에서 2013년 사이 전세계적으로 원시림은 약 7.2%감소하였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면적은 캘리포니아 면적의 두 배에 달하는 엄청난 면적이다. 또한 더욱 문제되..

환경관련자료 2017.01.18

세계의 주요 목재관련기업 소개 – BRUGERE (Beech Plywood 제조업체)

세계의 주요 목재관련기업 소개 – BRUGERE (Beech Plywood 제조업체) 회사명 : BRUGERE위치 : 프랑스 Bourgogne주 Chatillon-sur-Seine주요제품 : Veneer, Plywood, Logs주요수종 : Beech, Poplar, Oak, Combi 프랑스 중동부지역에 위치한 Bourgogne주에 위치해 있는 Burgere사는 1928년 창업자 Fernand Burgere가 다양한 목재를 소비자들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제재소, 가구공장 및 비니어와 합판 등을 생산하면서 사업을 개시하였다. 100년에 육박하는 이런 오랜 전통은 아직까지 이어와 Brugere에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들은 가구산업, 스포츠용품, 악기산업 그리고 기술산업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가장 고품질이면서..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 요즘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주지하다시피, 전 세계국가들은 2050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은 80%까지 줄이기로 합의하였다. 이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인류의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전세계는 가뭄과 열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지대의 범랑 등 극심한 자연재해를 겪으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던 것이다.하지만 온실가스를 80% 줄인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표를 기술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타당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어떠 국가 배출량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에의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화석연료에의 의존도를 줄이고, 다양한 종류의 발전원들을 개발하여 적재적소에 알맞은 에너지원 들 – 풍력이나 태양광발전 –..

환경관련자료 2017.01.05

세계의 유용식물자원 이야기 12 – Rain Tree

레인트리 (Albizia saman) Fabaceae – Mimosoideae (콩과 - 미모사아과) 이 나무의 일반명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것 중에는 레인트리 (Rain Tree), 몽키포드(Monkey Pod)란 말이 있다. 레인트리란 말의 유래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이 나무는 콩과식물로 질소고정효과가 있고, 낙엽성으로 나무 근처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 나무아래에서는 초본류들이 번성하는데, 이는 마치 나무에서 계속 비가 내려 식물들이 잘 자라게 하기 때문이라는 설과 또 다른 하나는 이 나무가 가로수로 심겨질 경우 수관이 넓게 옆으로 퍼지면서 마치 우산처럼 퍼져서 사람들이 비를 피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해 주기 때문에 이라고 한다. 사실 이 경우는 차라리 Umbrella Tree..

바이오매스는 재생에너지가 일까? – 영국의 사례

바이오매스는 재생에너지가 일까? – 영국의 사례 에너지는 우리 생활에 있어 꼭 필요한 자원이나, 문제는 이러한 에너지 부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지구상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이 없거나 적은 신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로는 풍력, 태양광, 조력, 수력 발전 같은 것 뿐만 아니라, 유기체의 총량을 의미하는 바이오매스 (Biomass)에너지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신재생에너지도 전부 장점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 따라 매우 달라지기도 한다. 바람이 불지 않는 곳에 풍력발전을 할 수 없으며, 일조량이 풍부하지 않으면 태양광 발..

환경관련자료 2016.12.21

바이오매스는 재생에너지가 일까? – 영국의 사례 1/2

바이오매스는 재생에너지가 일까? – 영국의 사례 2015년 기준으로 영국의 전체 발전량의 약 9%가 바이오매스를 통한 발전이었다. 이 수치는 정부가 세운 신재생에너지 목표치에 근접하는 수치이며, 이런 바이오매스를 통한 발전은 전력 생산에 있어서도 깨끗하고, 친환경적인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Biofuelwatch나 기타 다른 환경단체 그리고 몇몇 과학자들은 이러한 일반적인 인식에 동의 하지 않는다. 그들은 바이오매스 발전은 탄소배출을 줄이거나, 에너지 시스템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시켜 주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바이오매스 발전이 산림파괴와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가져옴 으로서 궁극적으로는 석탄과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태우는 것과 전혀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오매스 ..

환경관련자료 2016.12.20

[오퍼제품소개] Monkey Pod 원목 상판테이블

[오퍼제품소개] Monkey Pod 원목 상판테이블 현재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원목 상판테이블(일명:떡판)으로 가공되어 판매되고 있는 Monkey Pod 원목 상판테이블을 소개 합니다. 본 수종은 남미가 원산지인 나무로 수형이 넓게 퍼져, 마치 우리나라의 느티나무를 연상시키는 나무로서 원산지인 남미나 가로수로 많이 식재된 동남아에서는 비를 막아주는 나무라는 의미로 Rain Tree로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알려진 이름은 Monkey Pod인데, 이는 아마도 이 나무가 콩과식물이나 콩모양의 코투리(Pod)가 열리는데, 이를 원숭이가 매우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인도네시아에서는 Trembesi라고도 불리 우고 있습니다. 목재는 비중이 0.5에서 0.6정도로 중밀도에 속하며,..

우드케어 시공사례 702 소나무색

우드케어 시공사례 702 소나무색 우드케어 소나무색으로 칠하여진 시공사례입니다. 이번 사진을 보면 제품도 제품이지만, 칠하시는 분의 실력도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 수 있는 사례입니다. 사진을 가깝게 찍지 않아 정확한 판단은 힘들지만, 이렇게 찍은 사진만으로도 칠하신 분의 정성이 느껴집니다. 이렇게 깨끗한 마감을 위해서는 이론적으로는 칠하실 부분을 깨끗하게 청소하신 후, 붓으로 꼼꼼히 칠하면 됩니다만, 사실 말처럼 쉽지는 않습니다. 이번 시공사례를 보면서 소비자의 깊은 내공을 느꼈습니다.

지속 가능한 환경과 기타(Guitar) – 마호가니

지속 가능한 환경과 기타 – 마호가니 기타의 가장 큰 효용가치는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것이다. 기타가 아름다운 소리를 내지 못한다면 그건 기타로서는 무용지물인 것이다. 또한 아무리 아름다운 목재라도 제대로 된 용도에 쓰이지 못한다면 그 효용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어떤 소재가 가장 자기의 효용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 용도에 적절한 곳에 사용되어야 한다. 기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는 Neck이라 불리 우는 곳으로 이곳은 기타의 내구연한 동안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 만약 이 Neck부분이 한쪽이나 다른 쪽으로 굽거나 휜다면 기타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최고급 기타의 neck은 마호가니로 만들어 진다. 이 붉은 갈색의 목재는 엇결을 가지고 있으며, 수분와 온도에 특별히 강한 저항성..

세계의 유용식물자원 이야기 11 – Ipil-Ipil

Ipil-Ipil (Leucaena leucocephala) Ipil-Ipil은 콩과 미모사속의 속성수로 원산지는 멕시코와 남미(벨리즈, 과테말라)등이다. 하만 현재에 와서는 이 나무의 높은 유용성으로 인해 열대의 전지역에 퍼져 있다. 이렇게 널리 퍼져 있어 이에 따라 많은 이름이 있는데 이에는 white leadtree, jumbay, river tamarind, Subabul, white popinac등이 있다. 다양한 용도로 재배되며 생나무 자체에서도 함수율이 매우 낮아 장작이나 숯원료 등 땔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좋은 목섬유를 제공해 주기도 하며, 가축들의 사료용으로도 많이 식재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 나무의 빠른 성장에 주목하여 이전 회에서 소개했던 칼리안드라나 글리리시디아와 더불어 바이오매스..

산림사업 2016.11.14

주요국가 산림정보 1 – 필리핀 1편 지리적 특성

필리핀 산림정보 지리적 특성 필리핀은 위도 북위 4° 23´에서 21° 25´ N 그리고 경도 동경 116° 55´ 에서 126° 34´ E에 위치한 7,100개에 이르는 섬으로 이루어진 국가로 전체 국토면적은 300,000 Km2에 이른다. 동쪽으로는 필리핀해, 남쪽으로는 세레베스해 그리고 서쪽으로는 남중국해와 맞닿아 있다. 필리핀은 크게 4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어 그것은 각각 루존(Luzon), 비사야스(Visayas), 민다나오(Mindana) 그리고 팔라완(Palawan)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13개 대규모 행정구역과 71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리핀의 섬들은 대륙이동 및 화산활동 등에 의해 형성된 섬들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섬들은 거친 표면을 가진 산악지로 구..

산림사업 2016.11.04

2017년 올해의 색상 1 – Sherwin-Williams

2017년 올해의 색상 1 – Sherwin-Williams 세계적인 페인트회사들은 매년 그 해가 시작되기 전에 내년에 유행할 색상을 선정한다. 이러한 한 해의 색상은 현재 세계적인 칼라 트렌드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따라서 전세계 유명 페인트업체의 2017년 색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 첫번째로 미국의 Sherwin-Williams(셔윈 윌리암스)의 2017년 색상이다. Sherwin-Williams가 선택한 색상은 "Poised Taupe SW 6039"색상으로 따뜻한 계열의 갈색과 차가운 계열의 회색을 결합한 색상이다. Shewin-Williams에서는 2017년 색상으로 이 색상을 선택한 이유로 "토지의 색상과 같은 갈색과 보수적인 회색의 결합으로 천연적인 목재질감과 복합적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