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8

티쿠릴라(Tikkurila) 제품소개 : 자석페인트 (Magnetic)

티쿠릴라(Tikkurila) 제품소개 : 자석페인트 (Magnetic) 간단한 방법으로 편리하게 자석 부착을 가능하게 해주는 페인트 본래의 색은 회색이오니 자석 페인트 도장 후 티쿠릴라 실내 벽 페인트 도장 시 원하는 색으로 도장 마감이 가능합니다. 도장면적 : 1.5 m²/L ( 3회 도장기준 ) 도장방법 : 롤러, 브러쉬 또한 깨끗한 면을 위해 미장용 흑손을 권장 포장단위 : 0.5 L 색상표 : 회색 특징 : 완전히 건조 된 콘크리트, 플라스틱보드, 목재면 등 위에 사용 가능합니다. 주의사항 : 사용 전에 잘 저어주시고 원액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재도장시 24시간 양생하시고 총 3회 도장을 권장드립니다. 벽을 자석으로 만들어 각종 아이디어로 가득 찬 공간으로 만들어 줍니다. 벽면에 접착제나 핀..

건축자재와 전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건축자재와 전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건축분야에도 최근 지속 가능한 설계에 관한 많은 관심이 생겨,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에 대한 많은 관심이 생기고 있다. 전과정평가란 제품 또는 시스템의 모든 과정인 원료채취 단계, 가공, 조립, 수송, 사용, 폐기의 모든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광물자원의 사용와 이로 인한 대기 및 수계, 토양으로의 환경 부하량을 정량화하고 이들이 환경이 미치는 잠재적 악영향을 규명하고, 환경부하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이를 저감, 개선하고자 하는 기법을 말한다. 환경적인 측면에서 건축자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도 건축물은 에너지 생산량의 절반..

세계의 유용식물자원 이야기 10 마호가니 (Swietenia mahagoni)

마호가니 (Swietenia mahagoni) Meliaceae(멀구슬나무과)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고급 수종을 꼽는다면 흑단, 자단 그리고 마호가니를 꼽는 경우가 많다. 이런 수종들은 그 특유의 아름다운 형태와 목재로서의 기능적 가치가 뛰어나 고급 가구재료나 건축재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만큼 상업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어, 16세기부터 거래가 되고 있다. 심재는 검붉은 루비빛을 띄는 갈색으로 목재가 단단하면서도 연마를 하면 촉감이 부드러운데다 특유의 따뜻하면서도 고풍스러운 느낌을 준다. 현재는 무분별한 벌목으로 모두 CITES 부속서 II 등급으로 처리되어있으며, 목재의 가격 역시 급상승하였기 때문에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대부분 다른 고급수종도 마찬가지 인 것 처럼 외형상 비슷한 수종인 ..

원격탐사의 기초 1-1

1.3 전자기파 전자기파는 파장이 짧은(감마선과 X-선)과 긴 파장을 가진(마이크로웨이브파와 방송라디오파)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원격탐사에 사용되는 범위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 자외선이 원격탐사에 이용되고 있는 가장 짧은 파장의 전자기파이다. 이 파장은 가시광선의 보라색을 넘어서는 부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지구표면에 바위나 광물 같은 물질들은 자외선을 받으면, 형광색이나 가시광선을 배출하기도 한다. 우리의 눈 – 우리의 원격센서 – 은 이러한 스펙트럼 중 오직 가시광선인 부분만 인지할 수 잇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이 넓은 스펙트럼 중 아주 일부분만이 우리가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우리 주변에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아주 ..

산림사업 2016.08.22

산림 양묘장의 관리 4

4. 재이식 (PRICKING-OUT) 재이식을 하고자 할 때는 묘목이 상처 받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재이식은 묘목의 2-4cm정도의 크기와 3-4개의 잎 그리고 작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발아 직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재이식을 하는 것이 묘목에 큰 상처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재이식은 직사광선에 의한 건조를 막기 위해 구름이 많은 날이나, 늦은 오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재이식 하루 전에 재이식을 할 폴리백에 충분이 물을 주어야 한다. 또한 이식상에 가림막이 잘 설치되어 있는 지도 확인하여야 한다. 작업 실시 바로 전에 배양상에 물을 주어 묘목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한다. 묘목을 캘 때는 자그마한 막대를 묘목아래로 넣은 후 부드럽게 올리면서 묘목을 캐내면 된다. 이때 묘목의..

산림사업 2016.08.18

세계주요수종 10 Amazique

세계주요수종 10 Amazique 상업명 : Amazique, Amazoue, Mozambique, Ovangkol, Shedua 학명 : Guibourtia ehie 원산지 : 서아프리카 수형 : 교목, 수고 30-45m, 직경 1-1.5m 건중량 : 825 kg/m3 밀도 : 0.67-0.82 경도 : 5,900 N 파괴계수: 140.3 MPa 탄성율 : 18.6 MPa 파쇄강도 : 64.2 MPa 수축율 : 방사방향 4.3%, 접선방향 : 8.3% 용적 : 12.1% T/R ratio : 1.9 색상 및 외관 : 노란색에서 진한 갈색, 회색 및 검은색 줄무늬를 가지고 있는 적갈색 까지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다. 넓은 변재는 보다 퇴색된 황색을 나타내며, 심재와 확연히 구분된다. 때때로 구불어지고 ..

UBC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 세워진 가장 높은 목조주택

UBC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 세워진 가장 높은 목조주택 캐나다 밴쿠버에 위치한 전통 있는 명문대학교인 UBC(브리티쉬 콜럼비아 주립대학,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목조건축물이 이번 달에 완공되었다. UBC의 학생용 기숙사로 지어진 이 건축물은 총 18층으로 53미터의 높이로 지어지면서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목조건물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현재는 골조가 완성된 상태로 최종 완공은 2017년 가을로 예상하고 있으며, 총 272개의 스튜디오형식의 방과 33개의 4인용 방이 건축되어 404명의 학생을 수용할 계획이다. 특히 이 기숙사는 해당 지역인 캐나다 브리티쉬 컬럼비아주에서 생산된 목재를..

산림 양묘장의 관리 3

3.2 Seedtrays Seedtrays의 가장 큰 장점은 운반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런 점은 강한 비가 올때나 강한 직사광선이 미칠 때 손 쉽게 보호막 등으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묘목이 다 자랐을 때 역시 손쉽게 이식상으로 옮겨심을 수도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이러한 방식은 소립종자의 양묘에 적당핟, Seedtrays은 나무로 만들수도 있다. 길이는 40cm 폭 30cm 그리고 10cm의 두께의 규격으로 제조한다. 배수구멍은 상의 밑부분에 7mm의 구멍으로 만들거나 나무널로 만들수 있다. 또한 때때로 4각형 주석 말통을 반으로 쪼개서 만들 수도 있다. 이때 날카로운 부분이 없어지도록 하여야 하며, 아래에 배수구멍을 설치하여야 한다. 소나무, 전나무 및 유칼립투스 같은 발아 후 곧 싹..

산림사업 2016.08.04

제110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제110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제1교시 1. 침사지 2. 테마임도 3. 소나무재선충병 "감염우려목" 4. 사방사업 대상지 중 "척악임지" 5. 천연림 갱신 시 주수종 및 부수종의 역할 6. 소나무, 낙엽송, 전마무의 수종별 간벌(솎아베기) 개시기 예) 졸참나무 : 00~00년 7. 대형 산불피해지 복구계획 수립시 자연복원 대상 지역 (2가지) 8. 트랙터 집재와 가선집재의 장단점 (각3가지) 9. 산림에서의 이산화탄소흡수량 계산방법 10. 우리나라 산림에서 재배 가능한 단기임산물의 구분과 주요 품목 11. 산림생장모델의 종류 12. 재적표의 측정인자에 의한 분류 (3가지) 13. 항공사진상의 변위요인 제2교시 1. 바이오순환림 조성의 필요성과 수종 및 적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리기다소나무 단순림을..

원격탐사의 기초 1

원격탐사의 기초 본 책자는 캐나다 원격탐사센타에서 제작한 Fundamentals of Remote Sensing을 번역한 자료입니다. 제1장 개요 1.1 원격탐사란 무엇인가? 본 책자에서는 원격탐사를 잘 이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정의를 사용한다. "원격탐사는 지국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그것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학 혹은 기술이다. 원격탐사는 반사되고 분산된 에너지를 수취하여 가공하고 분석하고는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원격탐사에서는 입사광과 관심이 있는 목표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것은 아래에 표현된 7가지 요소과 포함된 광학시스템으로 만들어 진다. 하지만 원격탐사에 있어 분산된 에너지를 포집하는 것 뿐만 아니라 비-광학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

산림사업 2016.07.28

산림조사(Forest Inventory)의 기초

산림조사(Forest Inventory)의 기초 산림조사는 일정 지역에 있는 산림자원에 대한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정이다. 산림조사는 산림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고,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의 기초를 마련하고, 분석하고, 계획하는 기반을 마련해 주기 위해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산림조사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순서에 따라 행하여 진다. 산림조사의 목적 및 얻고자하는 정보 확정 샘플링 모델 및 방법의 개발 자료 수집 (현장조사, 원격탐사 및 기타 자료) 수집된 자료 분석 및 결과보고서 작성 산림조사는 비용과 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표본추출법에 의해 실행 된다. 표본추출법의 기본 원리는 전체 모집단에서 그 모집단의 성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부분집합을 추출하여 그 표준점의 자료로부터 모집단의 성질을 추..

산림사업 2016.07.27

산림 양묘장의 관리 2

2. 파종 시기 종자가 심기 적당한 정도로 아물었을 경우, 파종은 우기가 시작할 때 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시간관리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데, 종자가 충분히 발아하고 성장할 시간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양묘장의 상황과 수종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작업상황은 각각의 수종에 따른 파종시기, 발아 및 성장에 관한 기록을 철저히 하여, 우기의 시작시점 중 어느 시점이 가장 적합한 시기인줄을 확인하고, 기록해 놓을 필요가 있다. 3. 파종 산림종자는 용기에 바로 파종할 수도 있고, 배양상에 먼저 파종한 후 나중에 용기에 옮겨 심을 수도 있다. 큰 종자의 경우 다루기가 쉽고, 발아도 잘 되는 경향이 있어 직접 용기묘에 파종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뿌리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용기에서 빼내는..

산림사업 2016.07.26

세계 산림현황 1 - 도미니카 공화국 1. 토지 이용 구분 (2012년) 토지이용내역 구분면적 (ha)백분율(%) 전체산림1,883,707.9639.06 침엽수림소계338,931.007.03 침엽수 폐쇄림209,964.004.35 침엽수 소림128,967.002.67 활엽수림소계1,018,729.1021.12 습윤활엽수림699,567.0014.5 반건조활엽수림239,826.004.97 건조활엽수림79,336.101.64 건조지산림 소계494,721.0010.26 습윤지산림 소계31,326.860.65 습지산림1,795.860.04 망그로브산림29,531.000.61 관목림301,725.476.26 활엽관목림82,436.901.71 건조지관목림218,724.004.54 맹그로브관목림564.570.01 습지..

카테고리 없음 2016.07.25

세계 산림현황 1 - 도미니카 공화국

세계 산림현황 1 - 도미니카 공화국 출처 : FAO FRA 2015 1. 토지 이용 구분 (2012년) 토지이용내역 구분면적 (ha)백분율(%) 전체산림1,883,707.9639.06 침엽수림소계338,931.007.03 침엽수 폐쇄림209,964.004.35 침엽수 소림128,967.002.67 활엽수림소계1,018,729.1021.12 습윤활엽수림699,567.0014.5 반건조활엽수림239,826.004.97 건조활엽수림79,336.101.64 건조지산림 소계494,721.0010.26 습윤지산림 소계31,326.860.65 습지산림1,795.860.04 망그로브산림29,531.000.61 관목림301,725.476.26 활엽관목림82,436.901.71 건조지관목림218,724.004.54 맹그..

카테고리 없음 2016.07.25

산림관련 양묘장 관리 1

산림관련 양묘장 관리 http://www.fao.org/docrep/006/AD225E/AD225E00.htm 1. 양묘장 토양 관리 산림종자 양묘장의 경우 식물생육에 적당한 토양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것은 양묘형식이 용기묘 이든 파종상이든 poly pot이든 모든 양묘장에 적용된다. 양묘장 용으로 좋은 토양은 너무 점토질이 많거나 혹은 그 반대로 너무 모래가 많아도 좋지 않다. 점토질이 너무 많은 경우, 관수 및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관수하기도 어렵고, 관수했을 경우에도 토양속으로 침투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또한 이러한 토양이 물을 잔뜩 머금고 있을 경우 그것이 마르는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대로 토양에 모래가 너무 많은 경우 토양은 식물이 충분히 생육할 수 있는 정도의 물..

산림사업 2016.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