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관련자료 76

기후상식 3편 – 파리협약에 의한 국외감축 사업

기후상식 3편 – 파리협약에 의한 국외감축 사업 유연성체제와 파리협약 파리협약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후변화에 의한 지구 기온상승을 2.0℃보다 훨씬 낮게 하도록 하고 바람직하기로는 1.5℃이내의 유지를 최선의 목표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 지구적인 배출감축과 탄소흡수원의 확대가 꼭 필요하다. 이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파리협약은 다양한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파리협약의 6조는 이런 기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탄소시장 매커니즘과 국제적인 협력을 규정한 조항이다. 파리협약 이전의 국제적인 기후관련 조약이었던 쿄토의정서에서는 유연한 시장원리를 활용하여 국제적인 배출량 감축을 하려던 방안으로 이런 역할을 담당하던 CDM(청정개발제도), JI(공동이행제도)와 ETS(배출권거래제)제도를 파리협약에서는 제..

환경관련자료 2023.07.25

기후상식 2편 – 자발적 탄소시장

기후상식 2편 – 자발적 탄소시장 탄소시장의 종류 탄소시장은 규제시장과 자발적시장으로 나뉜다는 것은 이전 회에서 알아보았다. 간단히 다시 살펴보자면 규제시장은 탄소배출량에 일정한 세금을 부과하는 탄소세나, 정부 등 규제기관에서 배출량 목표를 할당하고 그 할당된 배출량의 과부족분에 대해 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하며, 자발적 시장은 민간 등의 다양한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배출권을 생성하고 이를 거래하는 시장이다. 탄소시장을 다른 분류방법으로는 할당량시장과 프로젝트시장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할당량시장은 기업별 배출허용량이 할당되고 할당량 대비 잉여/부족분 거래하는 시장이라면 프로젝트 시장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나 추가적인 탄소흡수 프로젝트를 실시해 달성한 감축량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할당량시..

환경관련자료 2023.07.03

기후상식 1편 - 탄소배출권

기후상식 1편 – 탄소배출권 기후변화에 관련하여 가장 핫 이슈중의 하나가 탄소배출권이다. 매우 친숙하고 쉽게 이해가 되는 단어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막상 탄소배출권이 무엇인지? 어디서 사고 파는지? 그리고 개인도 거래가 가능한지에 대해 잘 모르는 개인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준비해 봤다. 탄소배출권을 제대로 한번 디벼보자!! 탄소배출권의 정의 탄소배출권을 말그대로 해석해 보면 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다. 근데 그럼 여기서 의문이 생기게 된다.. 우리가 보고 배운데 로라면 탄소는 기후변화의 주요원인인 온실가스의 대표인데 왜 탄소를 배출할 권리를 주는거지?? 누가 주는거지?? 라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한발 더 나아가서는 탄소는 지구를 망하게 한다는데 이런 권리를 왜 주는 것일까? 여기서 한가지 질문을 하고..

환경관련자료 2023.06.03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토양탄소 증대방안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토양탄소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탄소를 배출하는 만큼 흡수를 해야 한다. 요즘 시대의 화두인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우선 먼저 탄소의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물론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배출된 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것도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일이다. 배출된 탄소를 다시 흡수하여 저장하는 방법은 식물과 같은 유기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CCUS와 같은 신기술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유기물을 이용하여 탄소를 저장하는 방법은 인공적인 방법에 비해 비용 효과면에서 뛰어나 탄소흡수를 고려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유기물의 탄소저장소에는 지상부 바이오매스, 지하부 바이오매스, 고사유기물 및 토양유기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현재까지 탄소흡수원..

환경관련자료 2023.05.21

생태계서비스 정량화를 위한 InVEST 모델

생태계서비스 정량화를 위한 InVEST 모델 1/2 – 모델의 개요 인간은 인간을 둘러싼 생태계에서 주는 각종 서비스와 재화에 의존하여 살고 있다. 생태계의 1차생산을 통해 쌀과 밀을 비롯한 대부분의 식량을 얻고 있으며, 우리가 숨을 쉬고 있는 산소도 결국 식물생태계의 광합성에 의해 생산된 산소에 의존하고 있다. 이렇듯 인간의 지속 가능성은 생태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생태계가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은 인간의 삶이 지속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수단일수 밖에 없다. InVEST 모델이란? InVEST (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모델은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수행중인 Natural Capital Projects..

환경관련자료 2023.03.09

언제까지 대형산불을 바라만 보고 있을것인가?

언제까지 대형산불을 바라만 보고 있을것인가? 우리나라 경북과 강원지역의 산들이 타 들어가고 있다. 이전의 산불로 가장 큰 피해를 입힌 2019년 고성산불의 피해규모를 넘어서고 있다고 한다. 산불의 피해는 막심하다. 가장 먼저 산불피해지역 주민들의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가장 심각하며, 산불을 진화하기 위한 인력의 피해도 매우 심각하다. 다행히 이번 산불로 인해 주민들의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하지만, 진화인력의 소중한 생명이 피해를 입었다. 산불이 장기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진화대의 육체적 정신적 피로도는 점점 극에 다다르고 있다. 다음으로 생태계의 피해이다. 산림생태계는 육상 생태계 중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생태계이다. 산불은 이런 산림생태계의 모든 것을 일시에 빼앗아 간다. 대형 동식물은 물론이고, 조..

환경관련자료 2022.03.12

환경운동연합의 지구의 날 기자회견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의 지구의 날 기자회견에 대해 지구의 날(4월 22일)을 맞아 우리나라의 대표적 환경단체 중 하나인 환경운동연합에서 산림청 규탄 기자회견을 가졌다고 한다. http://kfem.or.kr/?p=215594 아래는 기자회견의 전문이다. 산림 탄소 정책 헛발질, 산림청 규탄한다 – 생명의 가치 짓밟는 탄소계산 숫자놀음 멈춰라 – 벌목으로 돈 벌이 하려는 산림정책 백지화하라 작금의 기후위기 상황이 도래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간 활동에 있다. 책임 주체 역시 인간이어야만 한다. 목재로서 경제적 가치를 넘어 수자원 함양으로 홍수와 가뭄을 예방하고,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맑은 공기를 제공하며,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생명을 품는 생명다양성의 근간인 나무와 숲에 인간이 야기한 기후위기에 대한 책임을 떠넘..

환경관련자료 2021.04.23

세계의 특이 수종 이야기 3.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 The Lost Tree

세계의 특이 수종 이야기 3.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 The Lost Tree 고립무원(孤立無援).. 혼자 있어 누구의 도움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하는 사장성어이다. 이 사자성어와 꼭 어울리는 나무가 있으니, 바로 북부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이 위치한 니제르공화국의 Tenere지역에서 아주 외롭게 자라고 있는 The Lost Tree이다. 외로움은 인간이 겪는 고통 중에서도 가장 큰 고통중의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외로운 인간은 스스로 이동하여 가족을 만나거나 친구를 만나거나, 아니면 아무 정처없이 돌아다니며 어느 정도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반면, 자기 스스로는 이동할 수 없는 식물이 이러한 상황이라면 어떨까? 이름만 들어도 너무 외로워 보이는 The Lost Tree. 굳이 번역하자면 읽어버..

환경관련자료 2021.04.19

세계의 특이 수종 2. 가장 넓은 나무 The Great Banyan

세계의 특이 수종 2. 가장 넓은 나무 The Great Banyan 인도에 있는 The Great Banyan ​ 반얀트리(Banyan Tree)는 귀에 매우 친숙하다. 하지만 이것이 어떤 나무의 이름라는 것을 아는 사람도 많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는 이 나무가 우리나라에서 자라지 않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보다도 반얀트리라 하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고급 호텔, 리조트 그룹이 많이 익숙하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울과 속초에도 반얀트리 호텔 리조트가 있어 우리 에게도 친숙한 이름이다. 물론 가격이 너무 비싸 필자도 머물러 보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 호텔브랜드의 로고에도 나와 있듯 반얀트리는 주로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의 한 종류이다. ​ 반얀트리의 학명은 Ficus benghalensis ..

환경관련자료 2021.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