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7

염주만드는 나무열매 이야기

염주는 불교에서 수행과 염불을 위해 사용하는 구슬로 된 도구로, 이런 종교용 도구는 비단 불교 뿐만 아니라 천주교의 묵주나 이슬람교의 수브하와 유사한 종교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비슷한 도구들도 있다. 이러한 염주 제작에는 목재, 식물의 열매, 광물 등이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재료들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염주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고급 가공기술이 많이 발달되지 않았으므로, 처음부터 둥근 모양을 가진 재료들이 많이 사용 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 다음은 아마도 상대적으로 가공하기 쉬운 목재를 이용하여 염주들이 많이 만들어 졌을 것이라 추측된다. 염주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나무에는 침향, 자단, 흑단, 벽조목과 같은 고급나무에서부터 편백, 소나무, 야자..

주저리주저리 2025.08.16

모로코 생명의 나무 아르간 나무 (Sideroxylon spinosum)

모로코 생명의 나무 아르간 나무 (Sideroxylon spinosum)  패션의 완성은 얼굴이라고 하지만, 여러가지 치장법(화장)을 통해 얼굴을 더욱 아름답고 빛나게 할 수 있다. 그 중의 하나가 바로 머리를 단정하게 또는 반짝이게 하는 방법이었다. 이런 연유에서 우리나라에서는 멋쟁이 남자나 아리따운 여자들은 머리에 동백기름이나 아쭈까리(피마자)기름을 바르기도 하였다. 이런 머리기름의 서양버전이 바로 아르간 나무에서 나오는 아르간오일이다. 필자도 머리가 푸석한 편이라 이를 가다듬기 위해 헤어관리용품을 바르곤 하는데, 그런 제품의 주성분이 바로 이 나무의 씨앗에서 추출한 아르간 오일이었다.아르간나무는 현재 모로코의 특산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아르간 나무는 코르크를 생산하는 코르크참나무와 더불어 모로..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대학교 로고와 나무

대학교로고와 나무 대학교의 로고는 대학을 상징한다. 따라서 각 대학들은 자신의 대학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다양하고 특색 있는 디자인을 통해 학교를 홍보한다. 우리나라의 대학교의 로고들을 살펴보면 그 로고가 몇가지 유형을 보이는데, 먼저 동물이나 식물을 형상화 하여 학교의 정체성을 나타낸 경우 (고려대의 호랑이, 연세대의 독수리(심볼에는 없지만, 캐릭터에 존재), 성균관대 은행나무, 이화여대 배나무), 학교의 이름을 시각화 붙이는 경우 (서울대, 카이스트, 중앙대, 단국대, 국민대, 육사), 대학교의 大자를 형상화하는 경우 (경희대, 충남대) 진리를 수호하자는 의미에서 방패의 형상을 넣는 경우 (연세대, 충북대, 서강대, 부경대) 등이 있다. 여기서는 우리의 관심분야인 식물을 대학..

주저리주저리 2024.03.02

숲과 나무의 역사 1. 나무의 시대

숲과 나무의 역사 1. 나무의 시대 나무는 인류가 지구상에 나타나면서부터 가장 유용하게 사용된 재료이다. 나무는 난방과 요리를 위한 에너지로부터, 문명발달의 큰 기여를 한 구리 및 철의 제련, 바퀴, 풍차, 선박, 가구 및 악기 까지 거의 모든 것의 원료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목재는 인류의 역사를 관통하는 정맥으로 비유 할 수 있다. 인간의 조상이 6천만년전 숲속에서 생활하며 진화해온 과정동안 나무는 인간의 생활에 꼭 필요한 자재로서 그 역활을 충실히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나무의 시대는 어쩌면 우리 시대에 끝날지도 모른다.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의해 세계 각지의 산림들이 산불에 의해 파괴되고 있고, 경제개발 및 식량 등을 위해 훼손되고 있다. 파괴된 산림은 기후변화를 더욱더 가속화 시키고 있다. 이..

카테고리 없음 2022.08.19

세계의 특이 수종 이야기 3.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 The Lost Tree

세계의 특이 수종 이야기 3.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 The Lost Tree 고립무원(孤立無援).. 혼자 있어 누구의 도움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하는 사장성어이다. 이 사자성어와 꼭 어울리는 나무가 있으니, 바로 북부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이 위치한 니제르공화국의 Tenere지역에서 아주 외롭게 자라고 있는 The Lost Tree이다. 외로움은 인간이 겪는 고통 중에서도 가장 큰 고통중의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외로운 인간은 스스로 이동하여 가족을 만나거나 친구를 만나거나, 아니면 아무 정처없이 돌아다니며 어느 정도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반면, 자기 스스로는 이동할 수 없는 식물이 이러한 상황이라면 어떨까? 이름만 들어도 너무 외로워 보이는 The Lost Tree. 굳이 번역하자면 읽어버..

환경관련자료 2021.04.19

세계의 특이 수종 2. 가장 넓은 나무 The Great Banyan

세계의 특이 수종 2. 가장 넓은 나무 The Great Banyan 인도에 있는 The Great Banyan ​ 반얀트리(Banyan Tree)는 귀에 매우 친숙하다. 하지만 이것이 어떤 나무의 이름라는 것을 아는 사람도 많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는 이 나무가 우리나라에서 자라지 않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보다도 반얀트리라 하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고급 호텔, 리조트 그룹이 많이 익숙하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울과 속초에도 반얀트리 호텔 리조트가 있어 우리 에게도 친숙한 이름이다. 물론 가격이 너무 비싸 필자도 머물러 보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 호텔브랜드의 로고에도 나와 있듯 반얀트리는 주로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의 한 종류이다. ​ 반얀트리의 학명은 Ficus benghalensis ..

환경관련자료 2021.04.18

목재의 난연(Fire Retardant) 처리의 기술동향​

목재의 난연(Fire Retardant) 처리의 기술동향 ​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재산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큰 재난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2019년 충북 제천과 경남 밀양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다. 따라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은 결국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피해를 줄여줄 수 있는 가장 좋은 대안이다. 현대에 와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와 건축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건축물의 구조는 매우 복잡해 졌다. 건축 구조체들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보다 가볍고, 보다 강한 재료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재료들을 구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 바로 난연 성능이다. 화재라는 측면에서만 바라보면 이상적으로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