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3

도시지역에서의 자연기반해법의 적용

도시지역에서의 자연기반해법의 적용 자연기반해법(NBS, Nature Based Solution)이란. 자연기반해법은 2016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도입한 개념으로 “인류의 복지와 생물다양성 편익을 제공하는 동시에, 효과적이고 순응적으로 사회문제를 다루는 자연 본연 또는 변형된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을 하는 행동들”로 정의되고 있다. 자연기반해법이 도입된 계기는 지속적인 인구증가, 도시개발 및 기후변화 등으로 야기된 문제, 특히 기후재난, 식량안보, 수자원안보, 건강 및 오염문제 등의 관리에 지속 가능하며 비용 효율적인 자연자원관리와 자연기반기법을 활용하여 해결하자는 취지이다. 특히 자연기반해법은 기후변화, 재해위험의 감소, 식량 및 물 안보, 생물다양성의 손실 및 인간의 건..

카테고리 없음 2023.01.02

일본의 산림탄소상쇄 제도

일본의 산림탄소상쇄 제도 현재 지구의 기후변화는 기우위기로 그리고 점점 기후붕괴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물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적인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노력만으로는 지구의 온도상승 억제 목표치인 1.5℃ 뿐만 아니라 최후의 마지노선이라는 2℃ 온도상승 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온실가스 배출 감축 및 흡수증대를 위한 노력이 전 지구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온실가스 상쇄제도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직접 감축되게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산림과 같은 탄소흡수원이나 감축의무가 없는 사업자의 감축활동에 의해 자신의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상쇄하는 제도이다. 이런 상쇄제도와 관련하여 일부는 상쇄제도는 즉각적인 온실가스의 감축효과는 없이 오..

카테고리 없음 2022.11.14

숲과 나무의 역사 1. 나무의 시대

숲과 나무의 역사 1. 나무의 시대 나무는 인류가 지구상에 나타나면서부터 가장 유용하게 사용된 재료이다. 나무는 난방과 요리를 위한 에너지로부터, 문명발달의 큰 기여를 한 구리 및 철의 제련, 바퀴, 풍차, 선박, 가구 및 악기 까지 거의 모든 것의 원료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목재는 인류의 역사를 관통하는 정맥으로 비유 할 수 있다. 인간의 조상이 6천만년전 숲속에서 생활하며 진화해온 과정동안 나무는 인간의 생활에 꼭 필요한 자재로서 그 역활을 충실히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나무의 시대는 어쩌면 우리 시대에 끝날지도 모른다.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의해 세계 각지의 산림들이 산불에 의해 파괴되고 있고, 경제개발 및 식량 등을 위해 훼손되고 있다. 파괴된 산림은 기후변화를 더욱더 가속화 시키고 있다. 이..

카테고리 없음 2022.08.19

세계의 주요수종 : 순카이 (SungKai), 꿀풀과

순카이 (SungKai), 꿀풀과 (Peronema canesces) 순카이(Sungkai)는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에서는 매우 유명한 목재 수종이지만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지 있지 않은 수종이다. 순카이는 다양한 실내가구 또는 베니어판 또는 지붕 트러스를 만드는 목재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동남아 사람들에게 매우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이 순카이가 자주 사용되는 이유는 고급수종으로 알려진 티크나 자단(로즈우드) 만큼 품질이 좋진 않지만 중간정도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가공이 용이하고, 성형 및 절단면에서도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가구제작자나 작업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순카이의 가장 큰 장점은 가격과 공급량이다. 순카이는 동남아의 저지대에서 많이 자생하기 때문에 공급도 원활하고 가격..

탄소중립과 언론보도

탄소중립과 언론보도 – 2022년 한국지역언론학회 여름학회 참가기 2021년 산림부분 탄소중립과 벌채에 관한 논란 및 올해 산불논란은 어찌 보면 언론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하던 산림부분이 언론에 많이 언급된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때의 논란은 주로 환경단체에서 제기한 문제에 대해 산림부분에서 대응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 우리 산림부분의 주장보다는 환경단체의 주장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실제의 사실관계와는 다른 방향으로 논쟁이 진행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런 과정에서 많은 국민들은 우리나라의 산림정책이 산림을 파괴하는 등 시대정신에 역행하는 것으로 인식하였게 되었으며, 이에 대산 산림부분의 내부 성찰도 꼭 필요한 시점이다. 2022년 7월 8일 진해이순신리더쉽센터에서 개최된 한국지역언론학회 진해 여름철 학술..

산림사업 2022.07.12

나는 자연인 일까?

구체적인 통계를 본적도 없고, 그에 대해 따로 조사해본 것은 아니지만 내 주위의 애기를 들어보면 40~60대 중년남성들이 가장 사랑하고 애청하는 TV프로그램의 하나는 MBN에서 절찬리 방영중인 “나는 자연인 이다” 일 것 임이 분명하다. 이런 인기는 인터넷 TV 프로그램 편성표에서도 느낄 수 있다. 어느 날 집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하고 있을 때 마땅히 볼 프로그램이 없이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다 보면 단일프로그램으로 가장 많이 방영되는 프로그램이 바로 이 “나는 자연인이다”이다. 이것 역시 제대로 통계를 낸 것은 아니지만, 내가 한번 채널을 끝까지 돌리다 보면 최소 5개 이상의 채널에서 이 프로그램이 항시 방영되고 있다는 것을 경험한다. 물론 다른 몇몇 예능프로그램도 반복해서 방영되기고 하지만 “나는 자연인..

카테고리 없음 2022.07.07

QGIS 팁 - DEM을 통한 경사도 산출 시 에러 해결

QGIS를 통한 경사분석은 지형분석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많이 사용하는 툴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로 DEM이라는 수치표고모델을 사용하는데, 특히 DEM을 외부에서 다운받아 사용할때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나름 공부해본결과 해당 DEM의 좌표계가 문제가 있어 Z-factor (수직 및 수평거리의 비율)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고 들었는데..솔직히 잘 이해는 안된다. 여기서 몇가지 해결방법을 찾아보았는데 일단 Z-facor값을 수정하는 방법이 있다. (국립공원공단 유병혁님의 블로그 참조) https://blog.daum.net/geoscience/210 ASTER GDEM (6) - Hillshade 및 Slope 계산 시 고도인자(Z factor) 설정 ASTER GDEM을 가지고 Slope을 계산할 때 주..

지속 가능한 목재에 관한 장관급선언문 (제15차 세계산림총회 채택)

지속가능한 목재에 관한 장관급선언문 (제15차 세계산림총회 채택) 2022년 서울에서 개최된 제15차 세계산림총회의 특별행사의 하나로 ‘지속가능한 목재에 관한 장관급 포럼’이 개최되었다. 이 행사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본, 오스트리아, 가봉 등 6개국의 산림 환경 분야의 장차관과 약 500여 명의 청중이 참석하였다. 이번 포럼을 통해 지속가능한 목재의 생산 및 이용에 관한 각국의 경험과 정책을 공유함으로써 지금까지 국가적 지역적 규모에서 이루어졌던 관련 논의를 세계적 규모로 확대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포럼에서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목재이용과 산림자원 순환 경제 체계 달성을 위한 정책 및 기술을 소개하였으며, 일본, 오스트리아, 가봉 등에서 온 대표들의 발언이 이어 나갔..

산림사업 2022.05.19

GEDI 데이터를 이용한 강원도 바이오매스량 산정

GEDI 데이터를 이용한 강원지역 바이오매스량 분석 GEDI프로젝트는 미국 우주항공국 NASA에서 지구에 대한 3차원적 분석을 위해 2019년부터 시작한 LiDAR기반 인공위성 데이터 취득 프로젝트이다. NASA는 22년 3월 GEDI의 최신 L4B 데이터를 이용하여 1km x 1km 해상도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밀도지도 (aboveground biomass density (AGBD))를 발표하였다. 여기에는 2019년 4월 18일부터 2021년 8월 4일까지 취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Patterson et al.(2019)가 제안한 hybrid model-based mode of inference 알고리즘을 통해 평균 지상부바이오매스의 밀도를 구하였다. 여기서는 이 데이터를 통해 우리나라 및 강원도의 지..

제15차 서울 세계 산림총회 단상

2022년 5월 2일부터 5월 6일까지 서울의 코엑스에서 개최된 제15차 세계산림총회는 산림분야의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산림분야의 세계 최대의 행사이다. 2015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더반에서 개최되었던 제14차 총회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개최되게 되었는데 원래 6년마다 개최되는 성격에 따라 2021년 개최 예정이던 것이 세계적인 팬더믹사태에 의해 연기가 되었다가 드디어 2022년에 개최되게 되었다. (참조 : 필자의 블로글 중 제14차 세계산림총회 관련 기사 참조). 특히 이번 산림총회는 1854년 인도와 1978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계최된 산림총회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3번째로 개최되는 행사로서 매우 의미가 깊다. ​ 제15차 세계산림총회의 주제는 “숲과 함께 만드는 푸르고 건강한 미래” (Buildi..

산림사업 2022.05.16

위성라이다를 통한 산림바이오매스의 계측

위성라이다를 통한 산림바이오매스의 계측 산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 및 저장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지만, 산림이 얼마나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고 있는지, 그리고 산림파괴에 의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는 매우 힘들었다. 이는 산림이 전 세계에 넓은 면적에 분포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산림은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오지에 위치하고 있어 산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가 힘들기 때문이었다. 이를 위해서 원격탐사기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대면적의 산림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원격탐사자료는 인공인성영상방법이 유일하다. 하지만 현재는 인공위성을 통해 얻어진 영상자료를 통한 산림조사방법이 수행되고 있지만, 기존의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림조사는 광학영상을 이용한 조사로 기..

산림사업 2022.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