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3

파리협약의 근간 : 투명성 체계

BTR 이란?강화된 투명성 프레임워크에 따라 파리 협정 당사국은 2년마다 2년마다 투명성 보고서(BTR)를 제출해야 하며, 첫 번째 제출 기한은 2024년 12월 31일입니다. 강화된 투명성 프레임워크의 양식, 절차 및 지침(MPG)에 따르면,결정 18/CMA.1의 부록), BTR에는 국가 인벤토리 보고서(NIR), NDC 진행 상황, 정책 및 조치, 기후 변화 영향 및 적응, 재정 수준, 기술 개발 및 이전 및 역량 강화 지원, 역량 강화 요구 사항 및 개선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 되게 된다.https://unfccc.int/biennial-transparency-reports https://unfccc.int/biennial-transparency-reports unfccc.int 파리협약의 근본 ..

환경관련자료 2024.08.28

캐나다 MASS TIMBER 로드맵

캐나다 MASS TIMBER 로드맵 MASS TIMBER 건축은 앞으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건축부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건축대안이다. 가장 먼저 대규모의 목재를 사용함에 따라 대규모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할 경우 경제적이며, 시공기간도 빨라 주택공급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목재사용의 증대로 지역의 산림자원을 활용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의 경제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기본적으로 MASS TIMBER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의 목조건축이 가지는 한계였던 규모의 한계를 벋어나 대규모 고층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MASS TIMBER 건축은 현재 유럽과 북미지역에서 활발히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일본 을 비롯한 아시아권에서도 점점 그 시장을..

[신제품 소개] ZAR NUDECK 누덱 복원용 페인트 / 1갤론(3.78ℓ)

오랫만에 신제품을 소개합니다. 바로 미국에서 온 손상된 목재, 콘크리트 복원용 수용성 페인트인 NUDECK많은 고객님들로 부터의 문의중 하나가 오래된 데크가 하도 망가져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는 문의들을 많이 주십니다. 물론 구조적으로 문제가 생겨 물리적인 위험이 있는 경우라면 바로 수리를 하거나 재설치를 해야 하지만 구조적으로는 문제가 없고 보기에만 흉물 스러운 그런 경우도 있죠!!! 이럴경우 아좋 좋은 대안이 있습니다. NUDECK..제 뇌피셜이지만 DECK를 NEW하게 만든다 해서 이렇게 이름지은 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이 누덱으로 칠을하면 손상된 목재가 아주 새것 처럼 바뀌고, 추가로 목재도 더 보호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아주 작은 단점이라면 목재처럼 보이는게 약간 덜하다는 점~~~  ..

코르크 참나무 (Quercus subur)

코르크 참나무 (Quercus subur) 흔히 코르크 참나무로 알려진 Quercus subur는 참나무류 중에서도 Cerris 아과에 속한 상록 활엽수이다. 코르크는 대표적으로 와인병의 마개로 사용되었지만, 현재에 와서는 기술개발은 통해 다양한 바닥재, 내장재 등 건축재료로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크리켓에 사용되는 공으로 사용되는 등 더 많은 용도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을 대표로하는 남서부 유럽과 모로코와 알제리로 대표되는 북서부 아프리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이 지역이 원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화석을 살펴보면 이 코르크참나무는 신생대초기 (제3기 중생대 말부터 신생대 초기를 이르는 제3기) 부터 나타난 고대종이다. 이 나무의 수면은 최대 400백년..

환경관련자료 2024.07.17

모로코 생명의 나무 아르간 나무 (Sideroxylon spinosum)

모로코 생명의 나무 아르간 나무 (Sideroxylon spinosum)  패션의 완성은 얼굴이라고 하지만, 여러가지 치장법(화장)을 통해 얼굴을 더욱 아름답고 빛나게 할 수 있다. 그 중의 하나가 바로 머리를 단정하게 또는 반짝이게 하는 방법이었다. 이런 연유에서 우리나라에서는 멋쟁이 남자나 아리따운 여자들은 머리에 동백기름이나 아쭈까리(피마자)기름을 바르기도 하였다. 이런 머리기름의 서양버전이 바로 아르간 나무에서 나오는 아르간오일이다. 필자도 머리가 푸석한 편이라 이를 가다듬기 위해 헤어관리용품을 바르곤 하는데, 그런 제품의 주성분이 바로 이 나무의 씨앗에서 추출한 아르간 오일이었다.아르간나무는 현재 모로코의 특산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아르간 나무는 코르크를 생산하는 코르크참나무와 더불어 모로..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SHP화일을 산길샘앱에서 이용하기 위한 팁

공간정보데이터는 주로 shape화일 형식으로 제공되는 데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GPS장치나 스마트폰 앱에 자료를 저장하여 이용하게 된다.하지만 여기서 문제점이 아직 Shape형식 자체로 장치나 스마트폰앱에서 바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주로 사용하는 산길샘이나 Gaia GPS, Orux Map같은 앱들은 주로 kml이나 gpx화일을 올리수 있게 되어 있다.따라서 QGIS에서 shape화일 다른 형식으로 전환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몇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하지만 변환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변환할 대상이 폴리곤일 경우이다. 점이나 라인의 경우는 변환이 잘되는 데 유독 폴리곤일 경우 에러가 뜬다.오류메니지를 살펴보면 GPX_USE_EXTENSIONS의 값을 YES로 ..

지리정보관련 데이터셋

- NASA's Open Data Portal - https://ow.ly/pwrN50QeGyS  - OpenStreetMap - https://ow.ly/Eogk50QeGzo- Natural Earth https://ow.ly/V3wb50QeGyG - Harvard Dataverse - https://ow.ly/cW4Q50QeGyP- United Nations FAO - https://ow.ly/euY050QeGyY -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 https://ow.ly/TRrk50QeGyV  (멸종위기종 리스트)- Austrian Government Open Data Portal - https://ow.ly/tEKT50QeGza - Hungarian Natio..

현대 중국의 산림생태복원 정책

중국은 세계 최대의 이산화탄소 배출국으로 2022년 기준 10,504MtCO2를 배출하여 2위 국가인 미국의 4,735MtCO2의 두 배이상을 배출하고 있다. 이는 그 동안의 경제개발 과정에서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의 사용이 급격히 늘고, 이를 위해 도시와 공장 등을 건설하기 위한 시멘트, 철강 등 고에너지 소비 자재들의 생산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이런 온실가스 배출추세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큰 문제이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중국은 기후변화에 있어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봐야 한다. 2012년 시진핑 주석의 취임이후 중국정부는 주요 정책 중 하나를 생태문명 건설로 설정하고 환경보호와 경제 발전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탄소 배출 저감과 동시..

환경관련자료 2024.06.08

일본의 목재제품 수요 및 목재사용 정책

일본의 목재제품 수요 및 목재사용 정책 자료출처 : 2022년 일본 농림수산성 발표자료 목재의 수요와 공급 2021년 기준으로 세계의 산업용 원목의 수요는 전년대비 2% 증가한 2,018백만㎥ 이었다. 세계의 산업용 원목의 국제 교역 물량은 3% 증가하여 143백만㎥으로 기록되었다. 중국이 가장 큰 원목 수입국이며 전세계 원목 수입량의 44%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201년 전세계적인 제재목의 생산은 2% 증가하여 494백만 ㎥을 기록하였으며, 제재목 수입량 역시 4% 증가하여 150백만㎥ 이었다. 제재목 역시 중국이 가장 큰 수입국으로 전체 재제목 수입량의 22% 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의 목재수요는 2009년 최저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전체 목재수요는 2021년 기준으로 8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 현재의 기후변화는 인류가 산업혁명이후로 지하에 있던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였기 때문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인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런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거나(Reduction), 아니면 추가적인 흡수 저장을 통해 온실가스를 대기중에서 제거(Removal)하여야 한다. 인류는 이러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다양한 제도와 기술들을 개발하였으며, 오늘은 그 중 다양한 제도를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노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자발적 감축 온실가스의 배출은 대부분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고 직접적인 방법은 배출의 원인자가 자발적으로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거나..

환경관련자료 2024.04.15

대학교 로고와 나무

대학교로고와 나무 대학교의 로고는 대학을 상징한다. 따라서 각 대학들은 자신의 대학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다양하고 특색 있는 디자인을 통해 학교를 홍보한다. 우리나라의 대학교의 로고들을 살펴보면 그 로고가 몇가지 유형을 보이는데, 먼저 동물이나 식물을 형상화 하여 학교의 정체성을 나타낸 경우 (고려대의 호랑이, 연세대의 독수리(심볼에는 없지만, 캐릭터에 존재), 성균관대 은행나무, 이화여대 배나무), 학교의 이름을 시각화 붙이는 경우 (서울대, 카이스트, 중앙대, 단국대, 국민대, 육사), 대학교의 大자를 형상화하는 경우 (경희대, 충남대) 진리를 수호하자는 의미에서 방패의 형상을 넣는 경우 (연세대, 충북대, 서강대, 부경대) 등이 있다. 여기서는 우리의 관심분야인 식물을 대학..

주저리주저리 2024.03.02

재미있는 식물의 진화 이야기

재미있는 식물의 진화 이야기 https://youtu.be/PQqB5GUchJc?si=LtjeNRTTfydsJKWl 식물이란, 진핵생물 중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세포벽이 있으며 엽록소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하는 다세포 생물들을 분류하는 생물계를 말한다. 식물은 광합성을 하는 조류와 함께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생성하고 산소를 만들어 내어 대부분의 생태계와 인간을 살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생물군이다. 현재 우리 주위에 자라는 식물이 어떤 과정을 통해 진화되었는지는 현재의 식물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된다. 빅뱅(위 그림에서는 B.B로 표현)을 통해 지구가 생성된 것은 46억년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후 긴 세월이 지나 지구상에 생명이 탄생한 것은 5억 6천만전 전이라고 한다. 여기서 의외..

환경관련자료 2024.02.23

현대 목재산업부분 기술발전의 역사

20세기 목재가공기술발전의 개요20세기 후반 목재 가공 분야의 기술 혁신의 목표는 목재가 주로 이용되는 사업부분인 건축과 가구산업 부분에 기존의 목재제품을 대체하는 플라스틱이나 철강류 등 다른 원료를 이용한 다양하고, 고품질의 제품 생산에 대응하여, 소나무류로 대표되는 온대림 및 아한대 산림의 목재 활용을 최적화하는 데 중심이 맞추어 있었다. 기존의 주요 원목 공급처 였던 열대 활엽수의 경우 무계획적인 남벌로 인한 자원고갈 및 불법 벌채 및 남벌로 인한 환경문제의 발생 등으로 그 생산과 수요이 크게 줄어들게 되었고, 이를 대체하여 소나무류의 침엽수 목재의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이런 기술 개발은 플라스틱, 금속, 콘크리트 등 다른 재료와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목재산업이 살아 남기위한..

COP28에서의 산림관련 논의사항

COP28 UAE 에서의 산림관련 논의사항 기후변화관련 뉴스를 접하다보면 COP땡땡이란 뉴스를 많이 보게 된다. 여기서 COP란 Conference of Parties의 준말로, 여기의 Parties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가입되어 있는 국가를 말한다. 즉 COP는 국제엽합이 공식적으로 매년 개최하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논의하는 회의로 기후변화협약에 소속된 국가들의 모임이라는 뜻이다. 올해의 COP는 두바이에서 개최되었는데, 두바이는 대표적인 산유국의 하나로 과연 화석연료를 대표하는 석유를 주요 경제기반으로 하는 중동국가에서 이런 기후변화관련 회의를 개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냐는 의문 또는 걱정도 많은 것이 사실이었다. 또한 COP28의 의장이 UAE의 국영석유기업의 최고경영자인 술탄 알 자베..

환경관련자료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