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3

러시아의 원목 수출 금지 정책

러시아의 원목 수출 금지 정책 모든 자원이나 원자재가 그렇듯이 목재산업의 원자재인 원목은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다.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원목을 안정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는 국가나 지역은 많지 않다. 이는 근대에 들어 강화된 자원무기화의 영향이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1970년대 이전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필리핀 등에서 수입된 열대 원목을 가공하여 합판을 만들어 전세계에 수출하여 단일 품목으로는 합판이 최고의 수출품목이 되었던 적이 있지만 산지의 자원고갈과 원목수출국들의 원목 수출금지 조치에 따라 급격한 쇠퇴를 겪은 경험이 있다. 이런 추세는 지속적으로 계속되었으며, 전 세계의 대부분의 국가들이 원목이나 가공되지 않은 목재의 수출을 금지하여 왔다. 이에 대한 예외적인 국가들이 러시아, 미국, 뉴질..

2020 목재산업박람회 참가

당사에서는 2020년 11월 18일 부터 2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0 목재산업박람회에 참가합니다. 본 전시회를 통해 우드케어 오일스테인 및 셔윈윌리암스 우드스테인 등 목재용 도료와 더불어 이태리 포플러합판, 시베리아 낙엽송/소나무 합판 그리고 이태리 본자노사의 LSB (Light Strand Board)등을 전시할 예정입니다. 많은 참관 바라겠습니다.

Sherwin-Williams에서 제공하는 목재도장상식 - 춘재와 추재

◉ 춘재와 추재 목재는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목재 전체를 아우르는 전반적이고 공통적인 특징도 가지고 있다. 일례로 거의 모든 온대지방의 나무들은 그 성장에 따라 1년에 한번 나이테를 형성한다. 이 나이테는 춘재(봄에 자란 부분, Spring growth, early wood)라고 불리는 연한 색상을 가지는 부분과 추재(가을에 자란 부분, Autumn growth, late wood)라고 불리는 춘재보다는 진한 색상을 가지는 부분으로 나뉜다. 목재 해부학적으로 보면 춘재는 얇은 세포벽을 가지고 목재의 공극(cavity)의 크기가 큰 반면 추재의 경우는 두꺼운 세포벽을 갖고, 작고, 압축된 공극을 가진다. 춘재와 추재의 모양과 크기는 목재의 종류 뿐만 아니라 목재가 ..

Sherwin-Williams 목재도장 상식 - 스테인 작업방식

목재 스테인 작업을 하는데에 있어 목재에 공극이 많이 있는 부분에는 더 많은 스테인이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이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색상이 진해지게 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부분에 샌딩실러나 하도재를 바른 후 샌딩을 하면 어느 정도 해결이 된다. 목재 스테인은 스프레이, 롤러나 flowcoating(스테인이 목재위에 흐르면서 칠해지게 하는 방법)과 같은 선형의 작업방식이 매우 효율적이다. 하지만 침지법이나 붓 또는 스폰지를 이용한 방법도 가능하다. 하지만 처리방법에 따라 결과는 매우 달라지면 이는 도장품질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스테인의 특성과 도장의 목적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작업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신제품 출시] 셔윈윌리암스 하드우드용 수성스테인

신제품 출시 셔윈윌리암스 하드우드용 수성스테인 (Sherwin-Williams Waterborne Hardwood Stain) 하드우드는 주로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활엽수로 목재의 밀도가 매우 높고, 물리적 성질이 뛰어나 건축자재, 데크재, 가구재, 인테리어재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고급목재입니다. 원산지별 주요 하드우드 수종 l 남미 : 이뻬, 마사란두바, 쿠메아, 라스 l 동남아시아 : 멀바우, 말라스,. 방키라이, 라왕, 티크, 마호가니, 켐파스, 케루잉 l 아프리카 : 블링가, 부빙가, 이로꼬, 아프로모시아 l 호주 : 유칼립투스, 자라목 하지만 하드우드는 밀도가 매우 높아, 일반 목재보호용 도료는 하드우드속에 침투하지 못해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하드우드에는 하드우드 전용도..

친환경 건축사례 – 산업용 건물 (공장건물)

친환경 건축사례 – 산업용 건물 (공장건물)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 건축을 이야기 할 때, 산업용 건물 (공장, 창고, 물류센터 등)은 제외하고 애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공장이나 물류창고들이 스마트공장이나 자동물류시스템을 이용하여 온실가스배출을 줄이고 환경에 영향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 되었으나, 이러한 산업용 건물 자체에 친환경적인 요소를 적용하는 사례는 그리 많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산업용 건물에도 친환경적인 건축요소를 추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런 사례중의 하나가 최근 노르웨이의 조경시설물 및 가구제조업체인 Vestre 가 노르웨이의 Magnor 지역에 건축중인 공장의 사례이다. 덴마크의 건축설계업체인 Bjarke Ingels Group (BIG)사가 설계를 맡은 이 건물은..

정밀 임업 (Precision Forestry)

정밀 임업 (Precision Forestry) 최근 농업분야에서 정밀 농업 ((Precision Agriculture)이라는 단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여기서 정밀 농업이란 토양, 작물, 기상 등 영농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농작업기계를 사용해서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친환경 고품질농업을 구현하도록 하는 농업기술을 말한다. 쉽게 말해 IoT,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농업의 세세한 부분까지 정확히 조사 측정하여, 농작물의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그에 맞는 처방을 전자동 농업기계나 드론, UAV 등 여러 도구들을 이용하여 시행하는 전 과정을 말한다. 요즘 유행하고 있는 스마트팜(Smart Farm)이 정밀 농업의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농업을 비롯한 다른 산업분야에는..

산림사업 2020.09.16

친환경 건축의 사례 – 공공청사 부분

지구기후변화의 원인중에 큰 한축을 차지하고 있는 건축과 관련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건축물은 건축과정 뿐만 아니라 사용과정에서도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온실가스를 배출하므로, 에너지효율 향상과 성능개선과 같은 사업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 이런 노력은 개인이나 민간 뿐만 아니라 공공부분에서도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여기서는 영국의 철도역사의 사례를 살펴본다. 이 사례에서 유의할 점은 단순히 공공건축물에 한정된 관점에서 보는게 아니라 국가 혹은 지구적인 차원에서 바라보아 친환경건축의 요소를 적용할 뿐만 아니라, 자기들의 철도시설 부지를 포함하여 다른 지역에도 나무를 식재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 최근엔 영국의 철도역사 건설에 다양..

유럽연합 산림관련 주요 스타트업

유럽연합 산림관련 주요 스타트업 경영적인 측면에서 스타트업(Startup)기업이란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거나 사람들이 맞닥트리는 문제를 찾아 기술을 활용해 이를 해결하는 작은 규모의 기업” 또는 “운영기간이 매우 짧은 회사를 일컫는 말, 이 신생 회사들은 마켓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혹은 리서치 단계에 있는 회사”를 지칭한다. 물론 정의하는 사람이나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쉽게 새로운 기술을 가지고 창업한 신생회사로 정의하면 대체로 맞을 듯 하다. 이러한 기술들의 대부분은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들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스타트업 기업들의 부상은 전 산업영역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따라서 산림(임업)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유럽연합의 산림..

지속가능한 도시와 Prefab House (공장조립형 주택)

지속가능한 도시와 Prefab House (공장조립형 주택) 팬데믹 시대를 맞이하여, 현대에서 주거공간을 설계할 경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이전에 비해 많은 변화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기존처럼 환경을 파괴하는 주거공간의 건축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하고, 탄소 중립적이며, 기후변화에 완화와 대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주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런 건축의 경향은 비록 주거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상업용 건물이나 산업용 건물에 도 물론 적용된다. 하지만 이런 다른 용도의 건물과 다르게 현대의 주거용 건물이 가져야 하는 특성 중의 하나가 삶의 질에 관한 것이다. 팬데믹 시대로 인해 비대면, 비접촉의 생활이 일상화 될 수 밖에 없으며, 이로인해 인간의 생활공간은 자신의 주거공간으로..

호주에 계획되는 세계최고층 하이브리드목조건축

호주에 계획되는 세계최고층 하이브리드목조건축 호주의 시드니에 위치한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인 Atlassian는 최근 시드니 본사건물을 40층 쩌리 하이브리드 목조건물로 짓기로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적인 높이가 180m에 이르는 이 건물은 완공된다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하이브리드 목조건축이 되게 된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건축이란 건물의 구조를 철재, 철근콘크리트 등의 재료와 목재를 함께 사용하는 건축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기둥과 보와 같은 구조체는 철재로 바닥이나 벽제 그리고 장식재들은 목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건축되고 있다. 동 사의 계획에 따르면 이 건물은 2025년 완공될 예정으로 완공된 후에는 약 4,000명이 이 곳에서 근무하게 된다. 이 지역은 호주의 사우스웨일스주 정부가 정보통신..

새롭고 혁신적인 목질 판상재 LSB

합판(Plywood), MDF, PB 및 CLT(Cross Laminated Board), OSB(Oriented Strands Boards)로 대표되는 목질 판상재(Wooden Panels)는 목재가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치수의 한계를 극복하게 한 제품입니다. 이에 따라 가구 및 인테리어 그리고 건축산업에 다양한 제품들이 사용되게 되었고, 목재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는 제품이 됩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목재판상재에 요구되는 품질도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친환경성입니다. 목질판상재의 주요 용도인 가구 및 인테리어 그리고 건축은 인간이 거주하고 있는 공간에 사용되기 때문에 포름알데히드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 하지 않아야 하며, 생산과정에서 탄소의 발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