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3

생태도시

생태도시와 산림도시 (Sustainable City) 1 생태도시의 의의 도시는 현재 인류의 55%이상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런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따른 주택, 교통 및 환경측면에서 많은 도시문제가 발생되게 되었으며 이런 도시문제는 다방면으로 확대되어 빈부격차, 세대간 갈등, 지역이기주의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많은 도시계획가나 정책결정자들과 학자들은 현대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에너지를 소비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도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는 다양한 철학과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안되었다. 그 예로는 생태도시, 저탄소도시, 녹색도시, 기후변화대응도시 등이 있다. 하지만 이 거의 모든 도시의..

환경관련자료 2020.06.27

코로나 그리고 산림과 임업

코로나 그리고 산림과 임업 조지 오웰의 1984,, 올리버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자먀친의 ‘우리들’을 세계의 3대 디스토피아 소설이라고 한다. 여기서 디스토피아(Dystopia)란 두산백과사전에 의하면 역(逆)유토피아라고도 인식되어지는 말로서. 가공의 이상향, 즉 현실에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나라’를 묘사하는 유토피아와는 반대로, 가장 부정적인 암흑세계의 픽션을 그려냄으로써 현실을 날카롭게 나타내고 비판하는 문학작품 및 사상을 가리킨다. 이 소설들에서 지구(혹은 지은이가 상상한 다른 세상일수도 있지만)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미래의 세계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를 한다. 물론 각 작가마다 그리는 디스토피아의 세계는 달랐다. 오웰이 그리는 디스토피아는 공포와 기만이 지배하는 세계..

산림사업 2020.05.27

그린뉴딜(Green NewDeal)과 산림, 임업 그리고 목재산업

요즘 뉴딜이라는 말이 다시 우리 사회에 다가오고 있다. 물론 미국 대공황때 루즈벨트 대통령의 뉴딜과 같은 의미의 뉴딜은 아니겠지만, 코로나사태라는 전대미문의 사태를 맞이하여, 어떻게 미래를 준비할 것 이냐에 대한 거대한 담론일 것이라는 점에서 이전 뉴딜과도 비슷한 측면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선진국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나라들이 새로운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고자 하는 준비들이 끊임없이 이루어 지고 있다. 현재 이야기되고 있는 뉴딜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이전 까지의 대부분의 뉴딜사업은 공공사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인력을 고용할 수 있는 사업이 중심이 되었다. 물론 루즈벨트시기의 뉴딜에도 노동자의 권리향상에 관한 정책, 환경..

산림사업 2020.05.16

셔윈윌리암스 목재용 식물성 오일 출시

셔윈윌리암스 목재용 식물성 오일 출시 (100% 식물성 천연 오일) Sherwin-Williams Vegetable Finish Oil For Wood ​ 모든 목재의 마감을 위한 셔윈윌리암스의 100% 식물성 천연오일 하드우드, 소프트우드 뿐만 아니라 대나무 압축목재에도 적용 가능 마감 후 목재에 부드러운 질감과 더불어 목재 본연의 아름다음을 더욱 강조함 ​ 제품성상 (500ml) ​ 용도 : 실내용 원목가구, 목재마감, 목재도마, 대나무 제품의 마감 ​ 용량 500ml, 1 liter, 25 liter ​ 제품특징 1. 이태리 품질테스트 기관 CATAS 인증 획득 2. 100% 식물성재료의 천연오일 3. 자극적 냄새가 없음 4. 목재 마감면에 부드러운 터치감 제공 5. 수직 부착력이 우수하여 접착력이..

목재의 난연(Fire Retardant) 처리의 기술동향​

목재의 난연(Fire Retardant) 처리의 기술동향 ​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재산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큰 재난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2019년 충북 제천과 경남 밀양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다. 따라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은 결국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피해를 줄여줄 수 있는 가장 좋은 대안이다. 현대에 와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와 건축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건축물의 구조는 매우 복잡해 졌다. 건축 구조체들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보다 가볍고, 보다 강한 재료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재료들을 구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 바로 난연 성능이다. 화재라는 측면에서만 바라보면 이상적으로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모든..

저영향 개발 (Low-impact development, LID)

저영향 개발 (Low-impact development, LID) 저영향 개발(低影響開發, 영어: Low-impact development, LID)은 강우유출 발생지에서부터 침투, 저류를 통해 도시화에 따른 수생태계를 최소화하여 개발 이전의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한 토지이용 계획 및 도시 개발 기법을 말한다. 1990년대 후반에 미국에서 전형적인 친환경 우수관리 실천수단인 BMP's(Best Management Practices)를 기반으로 저영향 개발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였으며, 최근 미국의 북서부를 중심으로 도시계획 차원에서 배수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LID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부 적용기준은 지역별로, 그 지역의 기후, 지형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공통적으로는 투수면적을 늘려..

환경관련자료 2020.02.27

목재와 화재

목재는 뛰어난 건축자재로 화재로 부터도 매우 안전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행 법규상 목재이용에 많은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기서 현재 우리나라의 건축과 목재와 관련된 법률규정을 살펴보고 아울러 유럽의 사례와도 비교해 보겠다.​현재 건축물에 목재를 사용하는 부분에는 구조재, 내외장재, 그리고 바닥재 등이 있을 수 있다. 일단 구조재의 경우의 내화구조는 화재 시 건축물 붕괴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 주요 구조부는 용도나 규모에 따라 일정시간 내화성능을 갖도록 의무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 경우 목재는 3시간 이상의 경우 충분히 내화성능을 가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내화구조의 경우 적절한 목재를 사용한다면 거의 문제가 되는 경우가 없다.​화재성능시험 ..

밀라노 Vertical Forest 유랑기

밀라노 Vertical Forest 유랑기 ​ 너는 어디에 살고 싶느냐? 라는 질문의 대답은 다양할 것이다. 사람들과 부딪히며 활발한 삶을 원하는 사람들은 여러 사람들이 북적이며 인간관계의 유지가 쉬운 도심에 살고 싶어할 것이고, 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는 파도가 출렁이는 바다나 굽이굽이 휘몰아 흐르는 강의 옆에서 살기를 원할 것이다. 또 다른 이는 깊은 산속에 아무도 없는 곳에서 혼자 고독을 즐기며 유유자적한 삶을 살고 싶어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개인적 취향에도 불구하고 감히 자신 하건데, 자신이 살고 싶은 곳이 그 어디라도 만약 그 주변이 숲처럼 가꾸어져 있어, 자신이 마치 숲 속에 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공간이라면 그 누구도 그런 주거환경을 싫어할 수는 없을 것이다. 숲 혹은 ..

Stuttgart 녹색 통로 (Stuttgart green corridors)

Stuttgart 녹색 통로 (Stuttgart green corridors) 최근의 도시문제 중 가장 부각되고 있는 것이 ‘미세먼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현재 우리나라의 미세먼지의 문제는 도시 뿐만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겪는 문제라고 할 수는 있지만, 도시 집중화가 심해지고 있어 절대적으로 도시민들의 피해가 크기 때문에 도시 문제 중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서울시를 비롯한 대도시의 경우 이런 미세먼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노후 경유차 운행중단, 차량 2부제, 석탄화력발전의 자제와 같은 미세먼지의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미세먼지 차단숲이나 공기정화시설설치와 같은 미세먼지 저감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 두 가지 수단 모두 미세먼지..

환경관련자료 2019.12.22

오동나무 (Paulownia tomentosa)

오동나무 (Paulownia tomentosa) Paulowniaceae (오동나무과) 오동나무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매우 친숙한 나무이다. 예전에는 딸을 낳게 되면 시집갈 때 가구를 해주기 위해서 심었다고 하고, 땅속에서도 잘 안 썩는 성질 때문에 관재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예로부터 오동나무는 집 근처의 빈터에 많이 심었다. 아마도 용도가 많은 오동나무를 가까이 두어 잘 가꾸고자 하기 때문일 것이다. 더군다나 예전에는 딸이 장성해서 시집을 가는 나이가 10대 후반 이었으니, 10여년 만에 품질 좋은 용재를 생산할 수 있는 나무라는 것을 예전부터 인정받아온 나무였던 것이다. 위의 사진이 1년생 오동나무의 사진이다. 사진을 봐서도 알겠지만 매우 빨리 자라는 수종이며, 잎도 매우 크다..

산림사업 2019.12.22

망고스틴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망고스틴은 과일의 여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일단 사물명에 왕이나 여왕이 들어가면 그것이 매우 좋은 것이라는 것은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이런 명칭에 걸 맞게 망고스틴은 그 맛과 영양이 풍부하다. 그런데 하필이면 왜 왕이 아닌 여왕인가 라는 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내가 들은 일설중의 하나는 대영제국 시대의 영국의 빅토리아여왕이 이 과일을 너무나 좋아했기 때문에 과일의 여왕이라고 불렸다는 것이다. (그럼 과일의 왕인 두리안은 어떤 왕이 좋아해서 이렇게 불렸나 라는 아주 쓸데 없는 고민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열매 중 오미자라는 것이 있다. 이는 이 것에서 다섯 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알고 있다. 근데 이 망고스틴도 먹고 잠시 음미..

카테고리 없음 2019.12.20

CAD파일 중 일부만 shape파일로 변경하는 법

현재 거의 모든 토목도면은 오토캐드로 작성되어 있다. 그래서 오토캐드의 파일인 dwg파일을 GIS프로그램에서 사용할려면 변환과정을 거쳐야 한다.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내가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기본적인 오토캐드 작업파일인 dwg화일은 QGIS에서 읽어들일수가 없다. 따라서 일단 GIS에서 사용가능한 dxf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이 작업은 오토캐드에서 '다른이름으로 저장'작업으로 처리하면 된다. 이렇게 저장된 dxf를 QGIS의 'Add vector layer'명령을 이용해 추가한다음, 작업을 원할히 하기 위해서 Export - Export selected features를 하고, shape파일로 저장해 준다. 하지만 문제는 이렇게 저장한 shape파일은 실제 위치와 맞지 않다는 점..

주저리주저리 2019.12.15

목조건축시 연결제 (Fastener)로서의 스크류의 장점

목조건축시 연결제 (Fastener)로서의 스크류의 장점 목조건축에서는 목재와 목재를 연결하는 연결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결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스크류 (Screw) - 못 (Nail) - 볼트 너트 (Bolt and Nut) - 연결 철물 (Connecting Ties) - 끼어맞춤 (Joinery) 모든 연결제의 경우 각기 그 나름대로의 장점과 단점이 있어, 그 적합한 용도에 따라 사용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전통적으로 봤을 때 목재를 적절히 가공하여 가능한 한 연결철물을 사용하지 않고 끼어 맞춤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는 볼 수 있으나, 가공에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고, 경우에 따라 이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모든 면에서 바람직하다..

물 복원 – 산림 복원 문제 해결의 기초

물 복원 – 산림 복원 문제 해결의 기초 산림경관복원 (약칭 FLR (Forest Landscape Restoration))은 인위적 혹은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황폐화된 지역을 경관적인 측면 즉 광범위한 지역차원에서 복원을 이루어 나가자는 개념이다. 세계 각지에서는 이러한 산림경관복원을 통해 황폐화된 자연환경을 복원하고, 동시에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여기에서는 페루의 안데스산맥의 남쪽에 위치한 Apurimac 지역의 Kiuñalla 커뮤니티의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Initiative 프로젝트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이 프로젝트는 페루가 Bonn Challenge를 통해 약속한 약 320만 헥타르의 황폐화된 지역을 상업적인 목적..

환경관련자료 2019.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