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관련자료 78

세계의 특이 수종 이야기 3.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 The Lost Tree

세계의 특이 수종 이야기 3.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 The Lost Tree 고립무원(孤立無援).. 혼자 있어 누구의 도움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하는 사장성어이다. 이 사자성어와 꼭 어울리는 나무가 있으니, 바로 북부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이 위치한 니제르공화국의 Tenere지역에서 아주 외롭게 자라고 있는 The Lost Tree이다. 외로움은 인간이 겪는 고통 중에서도 가장 큰 고통중의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외로운 인간은 스스로 이동하여 가족을 만나거나 친구를 만나거나, 아니면 아무 정처없이 돌아다니며 어느 정도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반면, 자기 스스로는 이동할 수 없는 식물이 이러한 상황이라면 어떨까? 이름만 들어도 너무 외로워 보이는 The Lost Tree. 굳이 번역하자면 읽어버..

환경관련자료 2021.04.19

세계의 특이 수종 2. 가장 넓은 나무 The Great Banyan

세계의 특이 수종 2. 가장 넓은 나무 The Great Banyan 인도에 있는 The Great Banyan ​ 반얀트리(Banyan Tree)는 귀에 매우 친숙하다. 하지만 이것이 어떤 나무의 이름라는 것을 아는 사람도 많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는 이 나무가 우리나라에서 자라지 않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보다도 반얀트리라 하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고급 호텔, 리조트 그룹이 많이 익숙하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울과 속초에도 반얀트리 호텔 리조트가 있어 우리 에게도 친숙한 이름이다. 물론 가격이 너무 비싸 필자도 머물러 보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 호텔브랜드의 로고에도 나와 있듯 반얀트리는 주로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의 한 종류이다. ​ 반얀트리의 학명은 Ficus benghalensis ..

환경관련자료 2021.04.18

유엔 생태계복원 10년 계획

` UN의 유엔환경계획(UNEP)과 식량농업기구(FAO)에서 공동으로 계획하고 있는 유엔의 생태계복원 10개년 계획은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사람과 자연의 공존을 위해 전세계 생태계의 보호와 복원을 위한 아주 의미있고 야심찬 계획이다. 이 계획은 생태계의 훼손을 막고 이를 복원하기 위한 전세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천하고자 하고 있다. 이는 건강한 생태계가 있어야만 지구상에서 인류가 살아 남을 수 있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며 생물 다양성의 붕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UN 생태계복원 10년계획은 올해인 2021년부터 시작하여, 2030년까지 지속되는데, 마감연도인 2030년은 자연생태계와 기후변화에 있어 특별한 의미가 있는 해이다. 왜냐하면 2015년 시작된 UN의 지속..

환경관련자료 2021.02.09

생태도시

생태도시와 산림도시 (Sustainable City) 1 생태도시의 의의 도시는 현재 인류의 55%이상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런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따른 주택, 교통 및 환경측면에서 많은 도시문제가 발생되게 되었으며 이런 도시문제는 다방면으로 확대되어 빈부격차, 세대간 갈등, 지역이기주의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많은 도시계획가나 정책결정자들과 학자들은 현대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에너지를 소비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도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는 다양한 철학과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안되었다. 그 예로는 생태도시, 저탄소도시, 녹색도시, 기후변화대응도시 등이 있다. 하지만 이 거의 모든 도시의..

환경관련자료 2020.06.27

저영향 개발 (Low-impact development, LID)

저영향 개발 (Low-impact development, LID) 저영향 개발(低影響開發, 영어: Low-impact development, LID)은 강우유출 발생지에서부터 침투, 저류를 통해 도시화에 따른 수생태계를 최소화하여 개발 이전의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한 토지이용 계획 및 도시 개발 기법을 말한다. 1990년대 후반에 미국에서 전형적인 친환경 우수관리 실천수단인 BMP's(Best Management Practices)를 기반으로 저영향 개발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였으며, 최근 미국의 북서부를 중심으로 도시계획 차원에서 배수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LID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부 적용기준은 지역별로, 그 지역의 기후, 지형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공통적으로는 투수면적을 늘려..

환경관련자료 2020.02.27

Stuttgart 녹색 통로 (Stuttgart green corridors)

Stuttgart 녹색 통로 (Stuttgart green corridors) 최근의 도시문제 중 가장 부각되고 있는 것이 ‘미세먼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현재 우리나라의 미세먼지의 문제는 도시 뿐만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겪는 문제라고 할 수는 있지만, 도시 집중화가 심해지고 있어 절대적으로 도시민들의 피해가 크기 때문에 도시 문제 중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서울시를 비롯한 대도시의 경우 이런 미세먼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노후 경유차 운행중단, 차량 2부제, 석탄화력발전의 자제와 같은 미세먼지의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미세먼지 차단숲이나 공기정화시설설치와 같은 미세먼지 저감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 두 가지 수단 모두 미세먼지..

환경관련자료 2019.12.22

물 복원 – 산림 복원 문제 해결의 기초

물 복원 – 산림 복원 문제 해결의 기초 산림경관복원 (약칭 FLR (Forest Landscape Restoration))은 인위적 혹은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황폐화된 지역을 경관적인 측면 즉 광범위한 지역차원에서 복원을 이루어 나가자는 개념이다. 세계 각지에서는 이러한 산림경관복원을 통해 황폐화된 자연환경을 복원하고, 동시에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여기에서는 페루의 안데스산맥의 남쪽에 위치한 Apurimac 지역의 Kiuñalla 커뮤니티의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Initiative 프로젝트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이 프로젝트는 페루가 Bonn Challenge를 통해 약속한 약 320만 헥타르의 황폐화된 지역을 상업적인 목적..

환경관련자료 2019.12.05

생태적 복원사업을 위한 국제 표준 및 원리

생태적 복원사업을 위한 국제 표준 및 원리 (INTERNATIONAL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THE PRACTICE OF ECOLOGICAL RESTORATION) 생태복원이란 생태계를 교란 이전의 원래 상태로 정확하게 돌아가기 위한 시도를 말하는 것으로 완전하거나 건강한 상태, 혹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파괴된 생태계를 완벽히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것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도 한다. 현대의 생태계는 여러 측면에서 많은 교란을 받고 있다. 인간의 벌채와 수렵과 같은 직접적인 활동에 의해서 훼손되고 있으며, 기후변화나 서식지의 변화와 같은 간접적인 영향에 의해서도 많은 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생태계는 결국 생물과 자연이 함께..

환경관련자료 2019.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