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관련자료 76

신소재로서의 커피

신소재로서의 커피 커피도 원자재가 될 수 있다. 커피는 아마도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는 기호식품일 것이다. 가볍게 주변을 둘러만 봐도 한 두개 쯤은 커피숍이 눈에 띄이고, 길거리에서는 커피를 테이크아웃하여 들고 다니는 사람을 흔히 보게 된다. 하지만 이런 흔한 커피를 추출하고난 커피찌꺼기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제작하는 시도가 유럽에서 시작되고 있다. 원재료는 쉽게 구할수 있고, 가격적인 면에서도 경쟁력이 있어야 하며, 환경적으로도 지속가능해야 하는데 커피찌꺼기야 말로 이런 조건에 적합한 재료가 아닐까 싶다. 조사에 의하면 미국인들은 하루에 약 2.4잔의 커피를 마신다고 하며, 이를 전세계적으로 환산한다면 그야말로 적지 않은 미사용 원자재가 넘쳐나는 셈이다. 이제 커피 찌꺼기의 변신을 ..

환경관련자료 2015.09.18

누리장나무

누리장나무 식물명 : 누리장나무 별명 : 개똥나무, 누린내나무 학명 : Clerodendrum trichotomum 과명 : 마편초과 형태 : 낙엽활엽관목 잎 : 마주나기를 하며 넓은 달걀형 꽃 : 취산꽃차례로 양성화이다. 꽃받침은 홍색이 돌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7월중순 8월 중순에 개화한다. 열매 : 핵과로 둥근모양이며, 푸른색으로 익으려 붉은색의 꽃받침에 싸여 있다가 밖으로 나옴. 0월말~10월 중순에 성숙함 번식방법 : 가을에 성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 혹은 녹지삽목 평소에는 별로 눈에 띄지 않다가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을 때 혹은 단풍이 질 때 유독 눈에 띄는 나무들이 있다.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누리장 나무는 바로 열매를 맺을 때 눈에 확 띄는 나무이다...

환경관련자료 2015.09.15

초코렛 안의 열대우림

초코렛 안의 열대우림 달작지근한 쵸코렛의 인기는 언제나 최고이다. 때문인지 초코렛의 주원료인 카카오의 경우 매년 생산량이 부족하여, 많은 카카오생산자들은 카카오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지를 계속해서 찾고 있다. 이중 몇몇은 남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최근 위성영상을 분석해본결과, 아마존의 열대우림이 개발되어 코코아 농장으로 바뀌는 것을 손쉽게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카카오는 서부아프리카가 주산지 였으나, 수세가 약해지고, 병해충과 이상기후 그리고 정치적 불안정으로 생산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카카오의 생산이 남미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페루의 경우 조사에 의하면 1990년과 2013년 사이에 카카오의 생산량이 거의 5배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FAO나 국..

환경관련자료 2015.08.23

목질 바이오매스 에너지와 녹색사업단 인도네시아 바이오매스 조림지 방문기 3

녹색사업단에 시행하고 있는 시험조림사업의 대상 수종은 흔히 Quickstick (직역하자면 빨리 자라는 지팡이 정도)으로 불리는 Gliricidia sepium이라는 속성수이다. Gliricidia는 동남아나 중남미 지역에 자생하는 중간크기의 관목으로 다 자랐을 경우 수고 10에서 12m에 이르며, 수피는 매우 부드럽고 색상은 회백색에서 짙은 갈색을 띤다. 꽃은 가지 끝에 달리며, 연한 분홍색에서 라이락과 비슷한 하얀색을 띄기도 한다. pH 4.5-6.2 정도의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며, 남미지역에서는 화산석지대에서도 발견되며, 사질토, 식질토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수종은 원산지에서는 예전부터 생울타리나 커피용 녹음수 또는 화목으로 사용되었다. 2년생 Gliricidia 조림지 이러한 G..

환경관련자료 2015.08.03

환경 위기 : 지속가능한 발전에 위협을 가하는 야생동물 및 산림자원의 불법 남획 및 거래

환경 위기 : 지속가능한 발전에 위협을 가하는 야생동물 및 산림자원의 불법 남획 및 거래 유엔환경계획(UNEP, Unite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은 유엔 산하 환경문제를 관할 하는 국제기구이다. 최근 UNEP에서는 환경위기 : 지속가능한 발전에 위협을 가하는 야생동물 및 산림자원의 불법 남획 및 거래 (원제 : The Environmental Crisis: Threats to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illegal exploitation and trade in wildlife and forest resources)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함으로 현재 심각해지고 있는 야생동물이나 산림자원의 불법 남획 및 거래에 대한 실태와 영향에 대해 전세계적인 ..

환경관련자료 2015.05.19

자생종을 이용한 훼손지 복원 문제

DMZ 일원 훼손지역 생태복원을 위한 자생종자 처리 및 이용에 관한 심포지움 참가기 DMZ란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한반도가 아직 세계 유일의 분단지역이라는 아픔을 담고 있는 대립과 갈등의 상징적 장소이며, 휴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 이후 약 60년이 넘도록 민간 출입이 통제되면서 생물의 다양성과 희귀 동식물의 보전, 그리고 생태적 가치 등으로 인해 생태계의 보고로 평가받고 있는 지역이다. 하지만 이러한 DMZ지역에는 인간의 손이 닿지 않아 좋은 점이 있는 반면에, 자연적이거나 혹은 인위적인 생태계의 회손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기도 하며,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보니, 복원에 있어서 일반적인 복원기술 적용이 어려운 곳이기도 하다. 사실 간단히 생각할 때 인간의 손이 쉽게 닿지 못하..

환경관련자료 2015.03.23

라오스 REDD+ 사업을 위한 기본자료

라오스 REDD+ 사업을 위한 기본자료 라오스 산림국의 정의 (수관밀도 20%이상을 산림으로 정의할 때) 2002년 기준 라오스의 산림면적은 9백8십만 ha이며 이는 전체 산림면적의 약 40%에 달하는 면적이다. 수관밀도 10%이상으로 정의되는 FAO의 정의에 의할 때는 좀더 높아져 2002년 기준 천6백4십만 ha 이며 이는 산림면적의 69%, 2010년에는 천5백8십만 ha (67%)에 해당되는 면적이다. 라오스는 지형적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는 북부산악지역과 중남부 구릉 및 산악지역 그리고 메콩강유역 저지대로 나눌 수 있다. 라오스의 생물다양성은 매우 높은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172종의 포우류, 212 조류 및 8,286종의 고등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

환경관련자료 2015.03.17

Biochar란 무엇인가?

Biochar란 무엇인가? 효과적인 토양개량제로 사용될 수 있는 Biochar Biochar는 바이오매스를 탄화시켜 만드는 고체형 물질이다. Biochar는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의 기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토양개량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냥 놓아두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온실가스로 되는 바이오매스의 배출가스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Biochar는 또한 탄소고정지수의 가장 바람직한 지표이기도 하다. 이러한 성질은 탄소배출권거래시의 탄소측정과 평가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Biochar는 2000년 동안 농업적으로 토양개량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앞으로도 탄소고정효과, 식량증산효과 및 토양의 생물다양성 증진 및 산림황폐화방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이다. Biochar는 생산과정을..

환경관련자료 2015.01.08

Tropical Timber Market Report, Volume 18 Number 3, 1st – 15th February 2014 The

Top SE Asian furniture fair to open in MarchThe Malaysian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MIFF) will beheld in Kuala Lumpur 4 to 8 March 2014. Since itsinception in 1995 MIFF has grown to become one ofSoutheast Asia‟s top furniture fairs and a global „top ten‟event.Every March, furniture manufacturers, buyers,international chain stores, hoteliers, architects and interiordecorators visit MIFF to co..

환경관련자료 2014.02.17